턱관절장애란?
아랫턱을 윗턱에 연결하는 2개의 관절을 턱관절이라 합니다. 다리나 팔 등의 움직임이 관절에서 일어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입을 벌리고 다무는 턱의 운동도 귀밑의 턱관절에서 이루어집니다. 특히 턱관절은 말하거나 음식을 씹을 때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많은 불편을 가져오게 됩니다. 턱관절장애란 턱관절이 제 위치를 벗어나서 관절, 치아, 근육들이 조화롭게 운동하지 못하는 모든 상태를 통털어 이르는 말입니다.
턱관절장애의 원인
턱관절은 관절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디스크'를 갖고 있는 관절로 턱관절질환은 자세불량, 스트레스, 턱이나 머리나 다른 관절을 다친 경우, 위 아랫니가 잘 맞지 않을 때, 밤에 이를 갈 때, 혹은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합니다. 적절하게 기능할 때에는 관절에 쿠션작용을 하는 얇은 디스크(연골판)가 있어 뼈끼리 접촉하지 않습니다. 치아의 교합이 좋지 않거나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디스크(연골판)가 어긋나게 되면 관절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것이 좀 더 심해지면 통증이 생깁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
- 턱관절 주위에 뇌신경과 청각신경, 평형담당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턱관절장애가 있을시에 두통, 귀울림, 어지러움이 나타나게 됩니다.
- 턱관절 디스크가 마모되면 턱에서 딸각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으며,
- 턱관절 주변의 근육이 긴장되면 입을 벌리기 어렵거나 음식물 씹을 때 통증이 나타납니다.
- 목뼈에도 턱관절이 영향을 주면 전신의 척추를 틀어지게 만들므로 경항통, 요통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양쪽 턱관절의 좌우균형이 다르고 턱관절 디스크가 좁아진 쪽으로 신경압박이 이루어지면서 턱관절 디스크가 좁아진 쪽으로 턱이 기울어짐. 얼굴이 비대칭적이며 어깨, 골반, 무릎의 높이가 다르고, 다리길이아 불일치. 경추, 흉추, 요추, 골반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다.
턱관절장애 치료
턱관절장애 치료는 환자 증상에 따라 다르게 진행하며 아래와 같습니다.
- 간단한 턱관절장애(통증만 있고 발병 얼마 안됨)의 경우
→ 추나, 침, 물리치료를 시행하며 2-3주안에 호전됩니다.
- 두통, 어지럼증, 음식씹을 때 불편감, 턱에 소리가 나며 기간이 오래된 경우
→ 추나, 침, 약침, 물리치료, 한약물치료를 시행하며 증상에 따라 1-3개월 정도 치료합니다.
턱관절 환자의 주의사항